‘난세에 영웅이 난다.’가 아니라 ‘난세이기 때문에 영웅이 탄생한다.’

영화 <터미네이터 : 다크 페이트>를 보면 사라 코너와 존 코너는 심판의 날을 막았다. 그러나, 아무도 사람들은 그들이 인류를 구원했다는 사실 조차 모르고 있다. 미래에서 온 그레이스조차 사라 코너를 몰랐다. 오히려, 사람들은 사라 코너를 구원자가 아닌 정신병자나 미국의 최고 현상범이라고 사람들이 알고 있었다. 이 영화를 통해 나는 ‘영웅’이나 ‘구원자’이라는 것은 평화나 질서 속에서 탄생하는 게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었다. 혼돈과 파멸 속에서 나오는 희망과 용기가 ‘영웅’이자 ‘구원자’라고 할 수 있다. 평화와 질서의 세계에서는 영웅도 구원자도 단지, 평범한 사람일뿐이다. 다른사람들과 같은. 영화 <다크나이트>에 나오는 인물들로 표현하자면 이렇다. 질서의 세계에서 브루스 웨인은 웨인 엔터프라이즈의 최고 주주이자 돈 많고 방탕한 생활을 하는 부자에 불과하다. 그러나, 밤이 되고 혼돈이 가득한 세계에서의 브루스 웨인은 어둠의 무법자이며, 어둠의 기사가 된다. 또한 동시에 조커는 베트맨이 있기에 더욱 더 존재감과 희열을 느끼며 최악의 악행들을 저지르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큰 고통을 주려고 한다. 다시 영화 <터미네이터>로 되돌아오면, 이런 얘기를 할 수 있다. 스카이넷과 리전은 필연적 존재이다. 그러니까 인류에게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숙명이라는 것이다. 뉴턴이 만유인력의 법칙이 발견하지 않았어도, 다른 천재가 나타나 만유인력을 언젠가 발견했을 것처럼. 문명이 발생한 곳에서 공통적으로 불이나 도구, 언어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거나 발명 혹은 발견했던 것처럼. 존 코너가 죽은 이유도 이런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존 코너는 스카이넷과 불가분의 관계으로 볼 수 있다. 존 코너와 사라 코너가 심판의 날을 막아서 스카이넷이 사라졌기 때문에 미래에서온 카일리스, 사라 코너와 카일리스의 아들인 존 코너가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