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vernote인 게시물 표시

에버노트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법: 하루일지

이미지
고등학교 때, 나는 어떻게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었다.  그러던 중 당시 강성태씨가 운영하는 공신닷컴에서 서울대 재학중인 어느 공신이 자신이 사용하던 스케줄 관리방법에 대해 쓴 글이 있었다.  그 스케줄 방법은 이 링크 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  나는 이 분이 사용하는 스케줄 양식을 조금 변형해 프린터를 뽑고 출력된 A4용지들을 폴더에다가 차곡차곡 넣었다.   고3과 재수시절 사용하던 스케줄러 시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케줄러 나는 서형일 공신님이 스케줄 관리방식을 차용한 이유는 계획을 세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주일 혹은 한 달 동안 내가 공부한 것들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이다. 그러니까 내가 보낸 시간들을 흘러보내지 않고 ‘세이브’할 수 있고 ‘쌓여간다’는 감각을 확실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였다.  앞서 말한 것처럼 고등학교 때, 나는 최대한 공부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어서 여러 스케줄관리나 공부법을 찾아보고 연구해봤다. 정말 다양하고 많은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은 어떻게 계획하는 것에만 그쳤지 계획하고 메모한 것을 다시 활용하는 방법들은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서형일 공신님이 쓰던 방법은 나에게는 이 방법이 가장 좋아보였고 또 내가 그려왔던 최고의 방법이였다.  에버노트, 종이의 한계를 초월하다.  그런데, 펜을 이용해 종이에 직접 쓰다보니 그게 점차 쌓이다보면 관리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한 페이지에 내가 원하는 양만큼의 정보들을 넣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대학교에 가면은 컴퓨터를 이용해 스케줄을 관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대학교 1학년 1학기 때까지는 적당한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이 없어서 재수시절에 쓰던 방식으로 스케줄을 관리했다.  대학교에 입학하고 얼마 안 되어서 프레지(Prezi)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본래는 프레젠테이션과 파워포인트를 어떻게 잘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인터넷에 여러 노하

당신이 스티브 잡스보다 뛰어나지 않는 이유

이미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당신의 메타인지 능력이 스티브잡스보다 뛰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스티브잡스보다 자료를 잘 정리하고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을지 몰라도 그것들을 이해하고 적용하고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스티브 잡스만큼 탁월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만약에, 스티브 잡스의 메모법, 스티브 잡스의 스케줄 관리법이라는 제목으로 책이 나왔다면 우리나라에서 분명히 베스트셀러가 되었을텐데 왜 지금까지도 이런 책을 본 적이 없을까?   그런데 나중에 ‘스티브잡스의 메모법’과 같은 책이 나와도 나는 보지 않을 것 같다. 이미 그 답은 월터 아이작슨이 쓴 스티브 잡스의 전기를 보면 충분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스티브 잡스가 남긴 메모나 기록 등에 관한 것을 보면 굉장히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했다.   위 사진 을 보면 알 수 있다. 컴퓨터는 그의 주변에서 찾아볼 수 없다. 그의 주변을 둘러싼 것은 종이책들뿐이였다. (내가 볼 때에는 붓과 벼루도 보이는 것 같다.) 그는 미니멀리즘을 유행시킨 장본인으로서 딱 정좌자세로 그의 방에서 무엇가를 하고 있다.      이 위에 있는 사진들은  아타리에서 일할 때 스티브 잡스가 남긴 메모들이다. 이 링크 는 스티브 잡스 그리고 그의 아이맥과 책장들을 볼 수 있는 링크이다.   각 링크들에 들어가서 보면, 발견할 수 있는 게 하나 있다. 한 눈에 보기에는 엄청나게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개인적으로는 이 사진들을 보면서 스티브 잡스가 강조했던 키워드인 ‘집중과 선택’이 떠오른다.   얼핏 보기에는 그의 모습은 굉장히 체계적이지 않게 보인다. 하지만, 그가 매체에 나와서 인터뷰를 하거나 프레젠티이션을 하는 것을 보면 어느 누구보다 명확하고 또렷하게 전달한다. 내가 본 사람들 중에 가장 똑부러게 말하는 사람이다.   내가 살면서 말을 잘하는 사람들 중에 정말 인상적이고 나에게 영감을 준 사람은 열 손가락이 넘지 않는데, 그

기억의 정의와 기억에 대한 나의 도식

이미지
뇌 과학에 따르면, 기억은 시간에 따른 경험의 차이이다. 즉, 10초 전과 지금의 차이, 어제와 오늘의 차이, 일주일 전과 오늘의 차이, 1년 전과 오늘의 차이, 10년 전과 오늘의 차이. 이런 것들이 누적되어 모아진 것들이 기억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대게 이런 말을 한다.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간다"고. 나는 이러한 이유를 일상이 반복적이고 하루하루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느끼고 생각해서 그런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기억이라는 것은 시간에 따라 누적이 되기 때문에 치매가 걸리면, 가장 먼저 지워지는 것이 가장 최근의 기억들이고 가장 늦게 지워지는 것이 어릴 적 기억들이라고 한다. 그래서, 연어들이 강물을 거슬러 고향에서 알을 낳는 이유를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학자들이 있다.  나는 시간을 인간이 기억하고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차원이라고 생각한다. 태어난 후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우리는 사과도 알게되고, 배고 알게되고, 강아지도 알게되고, 고양이를 알게 된다.   그래서 나이가 점차 들어감에 따라 사과와 배를 구분할 수 있게 되고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시간이라는 차원에다가 사과 혹은 배 혹은 강아지 혹은 고양이로서 도식화, 조직화, 평형화 등을 과정을 거치면서 고차원적인 개념들이 형성된다.   시간은 공간과 같이 어떠한 물리량이다. 한편, 일상적으로 표현하는 언어로는 시간을 ‘흐른다’고 표현한다. 그래서일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시간을 계속 +방향으로만 증가하거나 한쪽으로만 흐른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는 매일 밤마다 과거의 시간을 볼 수 있다. 바로, 지구에서 몇 광년이나 떨어진 별들은 지금의 모습이 아니라 몇 광년전의 모습이다. 아직도 시간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없지만, 여러가지 물리량이나 현상 등으로 간접적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을 수학적 언어로 표현하면 그래프의 하나의 축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래서 시간도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