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노트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법: 하루일지

고등학교 때, 나는 어떻게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었다. 그러던 중 당시 강성태씨가 운영하는 공신닷컴에서 서울대 재학중인 어느 공신이 자신이 사용하던 스케줄 관리방법에 대해 쓴 글이 있었다. 그 스케줄 방법은 이 링크 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 나는 이 분이 사용하는 스케줄 양식을 조금 변형해 프린터를 뽑고 출력된 A4용지들을 폴더에다가 차곡차곡 넣었다. 고3과 재수시절 사용하던 스케줄러 시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케줄러 나는 서형일 공신님이 스케줄 관리방식을 차용한 이유는 계획을 세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주일 혹은 한 달 동안 내가 공부한 것들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이다. 그러니까 내가 보낸 시간들을 흘러보내지 않고 ‘세이브’할 수 있고 ‘쌓여간다’는 감각을 확실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였다. 앞서 말한 것처럼 고등학교 때, 나는 최대한 공부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어서 여러 스케줄관리나 공부법을 찾아보고 연구해봤다. 정말 다양하고 많은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은 어떻게 계획하는 것에만 그쳤지 계획하고 메모한 것을 다시 활용하는 방법들은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서형일 공신님이 쓰던 방법은 나에게는 이 방법이 가장 좋아보였고 또 내가 그려왔던 최고의 방법이였다. 에버노트, 종이의 한계를 초월하다. 그런데, 펜을 이용해 종이에 직접 쓰다보니 그게 점차 쌓이다보면 관리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한 페이지에 내가 원하는 양만큼의 정보들을 넣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대학교에 가면은 컴퓨터를 이용해 스케줄을 관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대학교 1학년 1학기 때까지는 적당한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이 없어서 재수시절에 쓰던 방식으로 스케줄을 관리했다. 대학교에 입학하고 얼마 안 되어서 프레지(Prezi)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